HyeongJeong Kim(김형정)
Frontend Developer
GitHub
Velog
Email
복잡한 과정을 단순한 입력으로 원하는 출력을 만드는 것에서 즐거움을 찾았고, 개발에 입문했습니다.
UX/DX를 최적화하고, 개발을 낯설게 느끼는 이들에게도 친근하게 지식을 전파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고싶습니다.
AI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"코드 한줄 한줄에 내 생각을 담자"는 철학으로, 기술과 인간의 균형 잡힌 공존을 추구합니다.
Work
Viva Republica (Toss) - Frontend Platform Team
2025.07.01 ~ 2025.08.31 (2개월) | Frontend Platform Assistant
- 사내 Framework 프로젝트 RadonIDE 호환성 문제: Metro 전용 스펙을 Babel Plugin을 이용해 구현하여 기존 사내 Frmaework 프로젝트도 RadonIDE라는 vscode Extension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달성
- RN 0.72.6 디버깅 도구 부재 문제: __REACT_DEVTOOLS_GLOBAL_HOOK__ 전역 객체의 reactDevtoolsAgent property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ESbuild와 flow-strip으로 React 레포지토리에서 추출 및 번들링시 polyfill로 디버깅 환경 구축
- RN 렌더링 정보 부재 해결: 버전이 낮은 React Native의 렌더링 정보를 저장하는 instanceCache에 접근할 수 없는 문제를 해당 Map을 전역 변수화하고, Fregment를 AST순회하여 code Editor의 line 정보를 추가해 Radon IDE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구현
- 사내 복지 앱 웹뷰 → React Native 마이그레이션: 기존 웹뷰 중심 서비스의 성능 및 UX 한계 해결을 위한 사내 Framework기반 네이티브 앱 전환 프로젝트 담당, 플래닝부터 POC 개발까지 전체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 설계 및 실행
Project
교보DTS 컴플라이언스 플랫폼 개발 (React, TypeScript)
2025.03 ~ 2025.05 (3개월) | 프론트엔드 리드 (11명 중 3명 FE팀)
- 느린 CI/CD 속도: 기존 4분 40초에 달하던 빌드 시간을 Docker 멀티 아키텍처 최적화로 45초로 단축하여 1100% 개선
- 까다로운 의존성 관리: Private Network에서 외부 의존성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를 Yarn Berry Zero Install로 해결하여 보안, 빌드 환경 개선
- 반복적인 API 타입 정의: 수작업으로 관리되던 백엔드 통신 함수를 Orval(OpenAPI Generator)로 자동화하여 관련 작업을 60% 감소시키고 휴먼 에러 방지
- 로컬 개발 환경 인증 불가: HTTP 백엔드의 SameSite 쿠키 이슈를 Vite Proxy로 해결하여 로컬 개발 환경 정상화
- 분산된 API 로직: API 요청 로직을 Axios Interceptor로 에러, 인증을 중앙화하여 코드 중복 제거 및 유지보수성 향상
- 수동적인 On-premise 배포: GitLab Runner와 SCP/SSH로 On-premise 서버 자동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
- 일관성 없는 UI와 재사용성 부재: 아토믹 디자인과 Storybook으로 개발과 동시에 문서화를 구축하여 UI 일관성 확보
사색의 향기 퍼블리싱 개발 (Next.js, TypeScript)
2025.03 (2주) | 프론트엔드 리드
- 디자이너와의 협업: 디자이너 7명과의 독대 회의 통해 디자인 시안과의 정확도 100% 달성
- 롤링 슬라이더: 효율적인 배열 재활용 기반 무한 애니메이션을 통해 무한처럼 보이는 UX와 메모리 성능을 동시에 달성
- 특정 요소만 애니메이션 출력: Intersection Observer API를 활용하여 뷰포트에 진입한 요소만 관찰하도록 구현
- 끊기는 애니메이션: requestAnimationFrame을 활용하여 60fps에 가까운 부드러운 애니메이션을 구현
- 긴급한 반응형 디자인 요구사항: 반응형 요구사항을 재사용성이 높은 Composition 패턴으로 개발하여 기한 내 프로젝트 완수
포캣냥 - 위치 기반 대학가 길고양이 커뮤니티 (React Native, TypeScript)
2025.03 ~ 현재 | 4명 팀 프로젝트에서 프론트엔드 담당, 출시 완료
- 소셜 로그인 통합 이슈: 카카오, 구글, 애플 각각 다른 SDK와 인증 플로우로 코드 중복 발생하여 어댑터 패턴 적용, 통합 인터페이스 구현으로 새 플랫폼 추가 시 기존 코드 수정 없이 확장 가능
- 앱스토어 심사 지연 리스크: 긴급 버그 수정 시 2-7일 심사 기간으로 서비스 중단 위험이 있어 Code-push(hot-updater) 시스템 도입, 실시간 무중단 업데이트 배포 가능
- JWT 토큰 만료시 API 재처리 문제: 토큰 만료로 인한 API 실패 시 자동 갱신 및 지수 백오프를 통한 원본 요청 재처리를 위해 제네릭 기반 API 중앙화 시스템 구현으로 해결, 안정적인 인증 기능 완성
- 관리자 테스트 환경 개선:가상 위치 조작 조이스틱을 개발하여 관리자가 지도상에서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하며 실시간 테스트 가능
Open Source
React Datepicker 타입 정의 개선 Blog
- TypeScript 4.8 업그레이드로 인한 타입 호환성: Partial 타입을 활용하여 props 불일치 해결
hot-updater Firebase 플러그인 개발
- 번들링 이후 코드 변환 안정성: AST 기반 코드 변환으로 번들링 이후에도 사이드 이펙트 없는 안정적 변환 달성
- 보안 취약한 파일 접근 제어: JWT 서명된 URL로 파일 접근 제어하여 보안성 강화
- 18만줄 JavaScript 번들링 성능 개선: tsup 번들러로 번들링 최적화 및 Zero Install 구현
hot-updater bundle 삭제 기능 개발
- Supabase, AWS 등 7개 DB와 스토리지의 다른 삭제 로직을 통합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하고 각 플러그인별 구현체 개발
Article
AI 도구의 한계를 분석, 개발자의 본질적 역할과 가치에 대한 아티클
- 기술 철학 전파: 위시켓 요즘IT 매거진 게재로 10만+ 개발자에게 기술 철학과 비판적 사고 전파